쪼개는 도구 : 쐐기
-
김소영
2024.12.26
-
- 0
후기구석기시대 도구 중 쪼개는 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도구는 쐐기 wedge이다. 프랑스 구석기학계에서는 pièce esquillée 라고 하는데 쪼개진 면을 가진 도구라는 의미다. 즉 쐐기로 쓰이는 과정에서 쪼개졌거나 혹은 쐐기로 쓰기 위해 면을 조정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석기의 주된 용도 중 하나는 뼈를 쪼개는 것이다.
뼈 연모 제작은 먼저 뼈를 쪼갠 다음 원하는 도구 형태로 다듬는다. 이때 뼈를 쪼개는 방법에는 직간접적으로 내리치거나 자르거나 깎기 등이 있다. 그중 내리치는 것은 뗀석기 제작처럼 가장 오래된 방법으로 뼈를 망치돌로 내리치거나 돌에 부딪히는 방법이다. 이 경우 뼈가 날카롭게 깨지거나 불규칙적으로 부서지기도 한다. 이를 보완한 것은 새기개로 뼈를 켜 내는 것이다. 후기구석기시대 대량의 뼈 연모 제작에 가장 활발히 쓰인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뼈를 간접적으로 내리치는 것이다. 후기구석기시대 이전부터 쓰인 방법으로 뼈와 망치돌 사이에 쐐기를 꽂는 것이다. 쐐기 사용은 직접 내리치기처럼 뼈를 1차적으로 다듬을 때 쓰기도 하지만 새기개로 뼈를 켜다가 그 마지막 단계에 뼈를 뜯어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 때 쓰이는 도구인 쐐기는 쪼개고자 하는 재료와 내리치는 망치 사이에서 그 힘과 방향을 전달하는 중간도구 역할을 한다. 잔손질로 만드는 도구처럼 쐐기는 도구를 미리 손질하기도 하지만 사용의 결과로 흔적이 남기도 한다. 쐐기를 사용하면 양극에 힘을 받기 때문에 맞은 양 끝에서 마치 잔손질한 것 같은 흔적이 남는 것이다. 우리나라 구석기유적에서 출토하는 쐐기는 형태나 으스러진 형태 등에 근거할 때 주로 후기구석기시대 뼈 연모의 제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구석기유적 특성상 주로 석영에 만들어진 쐐기가 나오지만 유적에 따라 흑요석, 처트 등의 돌감이 쓰이기도 한다. 다만 길이 15cm 이상의 긴 자갈돌이나 막대형 쐐기의 경우, 돌감 쪼개기 같은 석기제작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이 글은 전곡선사박물관의 2019년 도록 <전곡리 윗마을 사람들>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