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 내는 도구 : 뚜르개
-
김소영
2024.12.27
-
- 0
뼈나 뿔, 가죽에 구멍을 뚫는 작업은 구석기시대에도 흔한 일이었다. 뼈나 뿔에 뚫은 구멍에는 다른 도구가 끼워지거나 장식의 한 부분이 되기도 한다. 가죽에 구멍은 가죽과 가죽을 연결하는 끈이 들어가는 자리가 되고 장식을 다는 데 쓰이기도 한다. 구멍을 뚫는 도구로는 뚜르개가 있다. 이름 그대로 뚫기 기능을 주로 담당하는 도구인데 그 기능은 구멍을 뚫고 확장하는 크게 2가지 기능이 있다.
뚜르개는 격지나 돌날의 한끝 혹은 그 이상의 뾰족한 날을 만든 석기이다. 뚜르개를 만드는 방법은 다양한데, 대체로 밑감의 가장자리를 따라 날까지 연속적으로 손질하거나 뚜르개 날 부위만 만든다. 날의 형태는 두 가장자리가 일직선으로 만나 뾰족하기도 하고 목 졸린 형태로 휘어지기도 하며 날의 개수도 다양하다. 뚜르개는 시대, 크기, 형태에 따라 큰 뚜르개(Bec), 뚜르개(Awl), 작은 뚜르개(Micro Awl)로 나눌 수 있다. 큰 뚜르개는 두 개의 두터운 날로 만들어진 것으로 석기 자체도 두꺼운 편이다. 한국에서는 주로 격지나 석영 맥암 돌조각을 이용해 만든다. 작은 뚜르개는 크기 5cm 이하의 작은 격지나 좀돌날에 만드는 것으로 밑감과 날 크기가 작아 가죽에 구멍을 뚫는 것처럼 섬세한 작업에 쓰이기도 했음을 쓴자국 연구에서 밝혀지기도 했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일반적으로 뚜르개는 뚜르개를 가죽 등으로 감싸 쥐고 주로 뼈, 뿔, 조개, 돌 등에 구멍을 뚫거나 뚫은 구멍을 확장하는 용도로 쓰였다. 구멍의 크기는 다르지만, 선사시대의 장신구, 뼈바늘, 굼대 등이 이런 과정으로 만들었다. 후기구석기시대에도 쓰였을 뚜르개 사용의 또 다른 방법은 자루를 달고 손으로 비벼 회전력을 높이는 ‘Bow –Drill’로 신석기시대에 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이 글은 전곡선사박물관의 2019년 도록 <전곡리 윗마을 사람들>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입니다.